![[CentOS]자동 로그아웃 시간 설정 [CentOS]자동 로그아웃 시간 설정](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설명
CentOS를 원격으로 접속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이 되는 불편함이 있어서 로그아웃 설정 방법에 대해 공유합니다.
![[CentOS]자동 로그아웃 시간 설정 - 설명 [CentOS]자동 로그아웃 시간 설정 - 설명](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설정 방법
▶ vi /etc/profile
![[CentOS]자동 로그아웃 시간 설정 - 설정 방법 [CentOS]자동 로그아웃 시간 설정 - 설정 방법](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vi 에디터로 profile을 수정합니다.
![[CentOS]자동 로그아웃 시간 설정 - 설정 방법 [CentOS]자동 로그아웃 시간 설정 - 설정 방법](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esc누르고 문자열 TMOUT을 찾기 위해 /TMOUT를 입력 후 편집모드에서 값을 설정합니다.
※ TMOUT 검색시 대/소문자 구분해야합니다.
![[CentOS]자동 로그아웃 시간 설정 - 설정 방법 [CentOS]자동 로그아웃 시간 설정 - 설정 방법](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초 단위이므로 만약 5분 후 로그아웃 되기를 원한다면 300으로 설정합니다.
![[CentOS]자동 로그아웃 시간 설정 - 설정 방법 [CentOS]자동 로그아웃 시간 설정 - 설정 방법](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logout하고 다시 login해야 TMOUT이 적용됩니다.
적용이 안되었을 경우
▶ vi /etc/ssh/sshd_config
![[CentOS]자동 로그아웃 시간 설정 - 적용이 안되었을 경우 [CentOS]자동 로그아웃 시간 설정 - 적용이 안되었을 경우](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vi 에디터로 sshd_config를 실행합니다.
![[CentOS]자동 로그아웃 시간 설정 - 적용이 안되었을 경우 [CentOS]자동 로그아웃 시간 설정 - 적용이 안되었을 경우](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ClientAliveInterval, ClientAliveCountMax를 검색하고 주석처리 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맥(Mac)에서 VirtualBox 설치(CentOS 7) (0) | 2021.04.04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