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4 [데이터베이스]TRUNCATE, DELETE, DROP 차이점 TRUNCATE, DELETE, DROP의 차이점은 SQLD 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내용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TRUNCATE, DELETE, DROP의 차이점을 정리합니다. TRUNCATE TRUNCATE TABLE 명령어는 개별적으로 행을 삭제할 수 없으며, 테이블 내부의 모든 행을 삭제합니다. TRUNCATE TABLE 테이블명; TRUNCATE의 특징 TRUNCATE는 DDL(데이터 정의 언어) 명령입니다. TRUNCATE는 테이블 잠금을 사용하여 실행되지만, 각 행은 잠기지 않습니다. TRUNCATE와 WHERE 절을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개별적으로 행 삭제 불가능) TRUNCATE는 테이블에서 모든 행을 제거합니다. 트랜잭션 로그에 한 번만 기록되므로 DELETE보다 성능 면에서 더 빠릅니.. DataBase/이론&SQL 2021. 11. 29. [데이터베이스]이상 현상(Anomaly) 이상 현상(Anomaly)이란? 데이터베이스에서 정규화를 수행하지 않으면, 데이터의 중복이 발생하고 전체적인 무결성이 저하됩니다. 이러한 원인은 데이터 이상 현상(Anomaly)에 의해 발생하며, 이상 현상으로 인해 현실세계의 실제 값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값이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데이터 이상은 삽입 이상, 업데이트 이상, 삭제 이상이라는 세 가지 유형이 존재합니다. 다음은 이상 현상을 설명할 대학교 테이블입니다. 학번 학생명 학과 코드 학과명 학과장 코드 학과장명 1 도우너 101 경영학과 1000 워런 버핏 2 고길동 101 경영학과 1000 워런 버핏 3 또치 102 물리학과 2000 아인슈타인 4 마이콜 102 물리학과 2000 아인슈타인 5 둘리 103 컴퓨터공학과 3000 빌 .. DataBase/이론&SQL 2021. 11. 28. [데이터베이스]트랜잭션 ACID 속성 트랜잭션이란? 데이터베이스는 단순히 조직화된 데이터의 집합입니다. 예를 들어 성적, 계좌 정보, 급여 명세서 등을 예시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정보들(성적, 계좌 정보, 급여 명세서 등...)은 비즈니스에 맞게 조직적이고 일관된 방식으로 데이터를 관리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비즈니스에 대해 설명드리자면, 대한민국에는 여러 개의 은행사가 존재합니다. 신한은행, 국민은행, 부산은행 등 수많은 은행이 존재하지만, 은행별로 계좌를 관리하는 로직 또는 테이블의 구조가 은행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즉, 은행마다 데이터를 관리하는 로직 또는 체계를 비즈니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정보들은 중요한 정보(=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중요한 정보가 일관성이 없거나 신뢰할 수 없다면, 사용자에게는.. DataBase/이론&SQL 2021. 11. 28. [MSSQL]SET NOCOUNT ON SET NOCOUNT MSSQL에서 기본적으로 프로시저또는 SQL을 실행할 경우 SELECT, INSERT, UPDATE, DELETE의 영향을 받은 행의 갯수를 리턴합니다. 이떄, SET NOCOUNT ON을 설정하면, 행의 갯수를 리턴하지 않습니다. SET NOCOUNT가 성능, 속도에 영향이 있는 이유는 이 메세지도 어떻게 보면 데이터이기 때문에 Byte입니다. SET NOCOUNT OFF로 설정하고 반복문 또는 커서로 INSERT, UPDATE, DELETE를 할 경우 루프 횟수만큼 Client에게 메세지를 전달합니다. SET NOCOUNT ON으로 설정하고 반복문 또는 커서로 INSERT, UPDATE, DELETE를 할 경우 한개의 메세지를 Client에게 전달하겠죠. 정리하자면, SET NO.. DataBase/MsSQL 2020. 10. 14. 이전 1 다음